Linux
어릴 때부터 윈도우 사용이 기본으로 생각했던 때가 있었다.
물론 지금도 마찬가지 이지만, 리눅스라는 운영체제를 알기 전까지다.
리눅스….
1997년 겨울, 동아리 회장 선배의 컴퓨터에 설치되었던 운영체제였다.
아무래도 전기전자 공학부였던지라 다른 운영체제에 큰 어려움이 없었던 것이겠지.
처음보는 운영체제에 신기함을 느끼고 만져봐도 된다는 허락하에 잠깐 본 바
음…….이건 뭐지???
지금 생각해보니 터미널만 보이고 x-window가 적용되지 않은 타입이었었다.
컴퓨터 종료하는 방법도 모르고 버튼을 눌러서 끄려다가 혼나기도 했다. :)
그 후로 20년이 지난 지금 설치해본 리눅스는 윈도우에 가까웠고 설치 및 사용에 있어 너무나도 달라져 있었다.
설치하는 방법도 체험하기와 직접 설치하기가 있어서 체험한 후 맘에 들면 Hard에 정식으로 설치가 가능했다.
종류 또한 많아졌고 살아남은 것과 사라진 것이 있다.
대중화된 페도라, 레드햇, 우분투부터 해킹에 특화되는 칼리 리눅스까지 다양한 종류의 리눅스가 있다.
지금까지 여러 종류의 리눅스를 설치해 봤지만 오랫동안 윈도우처럼 사용하지는 않는다.
아무래도 업무용으로 사용하기엔 오피스의 벽이 가장 크게 작용했다.
호환이 된다고 해고 완벽하지 않고 제가 작성한 파일이 다른 분의 컴퓨터에서 올바로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사용이 불가능했다.
현재는 서브 컴퓨터에 우분투 16.10 gnome 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그나마 가장 오래 사용중이다.
그전에는 우분투 9.xx~지금의 버전까지, 쿠분투, 루분투, 오픈수세를 설치해봤다.
우분투는 가장 대중적이여서 사용에 문제가 없었지만 새로운 리눅스도 설치해 보고 싶은 맘에 오픈수세도 설치해봤다.
오픈수세는 음….. 우분투와 다른 명령어를 사용해야 하는 점이 다시 우분투로 넘어가게 하는 원인이 됐다.
테스크탑테마는 unity, gnome, kubuntu를 적용했고 그 중엔 kubuntu가 1번째, unity, gnome 순으로 적용해봤고 사용해고 살아남은 것은 gnome이다.
우분투 17.10에서도 unity를 버리고 gnome을 기본으로 적용한다고 하니 다행인지 모르겠다.
일단 여기까지가 지금까지 겪어봤던 리눅스에 대한 경험이다.
다음에 간단한 셋팅과 주로 사용하는 프로그램 및 관련된 에피소드에 대해 포스팅하도록 하겠다.
얼마나 걸릴지는 잘 모르겠고 당분간은 주로 글만으로 작성된 포스팅이 될 것 이다.
얼마 동안만 말이다.
요기는 자주 가보는 사이트들이다. 참고가 되길 바란다.
'공학정보 >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Opensuse leap42.1 설치방법 (0) | 2017.06.09 |
---|---|
우분투 16.04 - 보미 플레이어 설치 (2) | 2016.10.12 |